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4월 제조업과 건설업 취업자 수가 큰 폭으로 감소하며 고용 충격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청년층의 일자리 문제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빠르게 고용 동향을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최근 고용 동향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수는 2,858만7,000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19만4,000명 감소했습니다. 특히 제조업과 건설업이 고용 감소의 중심에 있습니다.
- 제조업 취업자 수: 439만7,000명 (전년 대비 12만 명 감소)
- 건설업 취업자 수: 194만8,000명 (전년 대비 15만1,000명 감소)
이는 코로나19 당시 수준으로 회귀한 충격적인 수치이며, 10개월 연속 감소한 제조업 고용은 산업 기반 자체의 위기를 의미합니다.
2025년 4월 주요 고용 지표 요약
지표 | 수치 | 전년 대비 변화 |
전체 취업자 수 | 2,858만7천 명 | ▲19만4천 명 감소 |
제조업 취업자 | 439.7만 명 | ▲12만 명 감소 |
건설업 취업자 | 194.8만 명 | ▲15.1만 명 감소 |
청년층 고용률 (15~29세) | 45.5% | ▼0.9%p |
‘쉬었음’ 인구 | 250만 명 이상 | 12개월 연속 증가 |
고용 악화, 원인은?
- 글로벌 경기 침체 여파
소비 둔화와 수출 감소, 금리 인상 등의 영향을 제조업과 건설업이 직격탄으로 맞았습니다. - 건설 부문 침체
미분양 주택 증가 및 SOC 사업 축소로 인해 건설업 고용이 단기간에 7.2% 급감했습니다. - 청년 구직시장 구조 문제
‘선호직종 쏠림 현상’과 중소기업 기피가 맞물려 청년층 고용률을 더 악화시켰습니다. - 정부 고용 정책의 한계
공공일자리에만 의존한 일자리 정책이 민간 일자리 창출 효과를 이끌어내지 못했습니다.
청년 취업 전략, 지금부터 준비해야 합니다
고용 쇼크는 현재 진행형입니다. 하지만 방향성 있는 전략으로 충분히 돌파구를 찾을 수 있습니다.
✅ 산업 트렌드 기반 기술 확보
- 스마트팩토리, AI 자동화, 친환경 기술 관련 자격증 및 교육 프로그램 참여
- 국비 무료 교육: 국비지원 직업훈련포털
✅ 국가 일자리 포털 활용
✅ 민간 기업 분석 & 준비
잡코리아 고용리포트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기준 기업 63.2%는 "상반기 채용 축소"를 예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마무리
2025년 고용지표는 단순한 통계 수치를 넘어, 산업 전환기의 경고음을 울리고 있습니다. 특히 청년 세대는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디지털·첨단 기술 중심의 커리어 설계가 절실합니다.
지금 바로 고용시장 흐름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취업 전략을 재설계하세요.
반응형